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Asn8Q%2FbtsJRoJ236O%2FB387ruh4sNcRAwXXlhcmOK%2Fimg.png)
RabbitMQ에서 Exchange는 메시지를 큐로 라우팅 하는 역할을 합니다. 메시지가 먼저 Exchange로 전달되고, Exchange는 메시지를 적절한 큐에 분배합니다. RabbitMQ는 다양한 Exchange 유형을 제공하며, 각 유형은 메시지를 큐로 라우팅 하는 방식이 다릅니다.RabbitMQ의 Exchange 종류Direct ExchangeFanout ExchangeTopic ExchangeHeaders Exchange각각의 Exchange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Direct Exchange설명: Direct Exchange는 메시지를 정확히 일치하는 라우팅 키(Routing Key)를 사용하는 큐로 전달합니다. 프로듀서가 메시지를 전송할 때 특정 라우팅 키를 함께 보내고, 큐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mXhOo%2FbtsJR0WfBjb%2FCu5I0dlMYPJPl5rcufxHv1%2Fimg.png)
RabbitMQ란?rabbitMQ는 오픈 소스 메시지 브로커 소프트웨어로, 여러 애플리케이션 간의 메시지를 교환하거나 큐를 통해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.AMQP(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)를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하며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며, 신뢰성 있는 메시징을 제공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RabbitMQ의 주요 개념프로듀서(Producer) : 메시지를 생성하여 RabbitMQ로 보내는 애플리케이션큐(Queue) : 메시지가 저장되는 대기열로, 메시지를 임시 저장하고 메시지를 받을 때까지 유지컨슈머(Consumer) : 큐에서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익스체인지(Exchange) : 메시지를 받아서 큐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WCTEP%2FbtsJN4DV9Gt%2F8atIK4wibQImIupF421Mr0%2Fimg.png)
리눅스에서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고 관리할 때 libvirt와 virsh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.libvirt가 무엇인지, virsh를 동해 가상 머신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가상 머신에 대한 설정을 xml로 확인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.libvirt란?libvirt는 리눅스에서 가상화 환경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 소스 API이자 도구 세트입니다.다양한 하이퍼바이저(KVM, QEMU, Xen, VMware, Hyper-v 등)를 지원하며, 가상 머신, 네트워크, 스토리지와 같은 가상화 리소스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 주요 기능- 가상 머신 관리 : 가상 머신의 생성, 시작, 중지, 일시 정지, 스냅샷 관리- 스토리지 관리 : 가상 디스크 생성, 삭제, 크기 변경- 네트워크 관리 : 가상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c6iep%2FbtsJfElaoIf%2FEnLx3mNJkxkqDbtI00XH7k%2Fimg.png)
LVM리눅스에서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유연성을 제공하는 시스템LVM을 사용하여 물리적인 디스크 파티션을 묶어 논리 볼륨을 만들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디스크 공간의 확장이나 축소, 스냅샷 생성 등의 작업이 용이해집니다.그림 출처 : https://tech.hostway.co.kr/2022/06/13/1116/PVPV (Physical Volume) : 실제 물리적 디스크나 디스크 파티션을 LVM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한 것관련 명령어pvcreate : 새로운 물리적 볼륨을 생성ex) pvcreate /dev/sdx1pvremove : 물리적 볼륨을 삭제ex) pvremove /dev/sdx1pvdisplay : 물리적 볼륨의 상태와 정보를 표시ex) pvdisplaypvs : 시스템의 모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