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Wl1Sj%2FbtstTbrlpGB%2Fytwl8eUDkEJjiW1dcGfU20%2Fimg.png)
문제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66 입력 첫째 줄에 네 정수 N, L, W, H가 주어진다. 출력 첫째 줄에 가능한 A의 최댓값을 출력한다. 절대/상대 오차는 10^-9까지 허용한다. 문제 풀이 문제 해석 및 계획 박스에 담을 수 있는 A크기의 박스의 수는 a*b*c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. 이는 a*(a+s1)*(a+s2)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 따라서 i를 1부터 증가시켜 i*i*i가 N을 넘지 않는 i가 a가 됩니다. a를 구하였으니 b와 c를 조건에 따라 1씩 증가시키면서 N을 넘기는 값을 찾을 수 있을 것이고 a, b, c를 구하였다면 해당하는 길이 나누기 개수를 하였을 때 가장 작은 값이 A라고 생각하였습니다. 오답 노트 예제 입력에 대하여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5dL6c%2FbtstCGtoKiB%2FVuRkzNuvrcn1Tn90QVFHx1%2Fimg.png)
문제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49 입력 첫째 줄에 집의 수 N (2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A5jJC%2FbtstNzZSO5T%2FfqCcOkurT7cYIMai6XnfJ1%2Fimg.png)
문제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41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단어가 주어진다. 단어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고, 길이는 최대 50이다. 집합에는 같은 단어가 두 번 이상 있을 수 있다. 출력 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. 문제 풀이 문제 해석 및 계획 처음 생각은 입력을 슬라이스에 저장하고 반복문을 통하여 접두사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하여 부분집합에 포함시키지 않는 방법을 생각하였습니다. 두 번째 생각은 tree형식으로 자료구조를 잡고 가지의 수를 세면 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. 오답 노트 입력받은 문자열끼리 접두사가 되는 경우 relate로 기록하고 부분집합에 포함하지 못하..
![article thumbnail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99MwI%2FbtstxkDQi4U%2FSH92vBKStpCdlZ3tddPYk0%2Fimg.png)
문제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24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A와 B가 주어진다. 출력 첫째 줄에 A보다 크거나 같고, B보다 작거나 같은 언더프라임 개수를 출력한다. 문제 풀이 문제 해석 및 계획 A부터 B까지의 수가 2부터 증가하며 반복적으로 나누고 그 횟수를 확인하면 인수의 개수를 알 수 있고 인수의 개수가 1개라면 소수일 것이라고 생각하여 정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. 나의 정답 1부터 B까지의 소수와 각 인수가 몇 개인지 확인하려고 하니 시간이 초과되었습니다. 고민한 끝에 이전에 문제에서 소수를 찾는 방법으로 '에라토스테네스의 체'라는 것이 생각났습니다. 정확하게 기억나진 않았지만 2부터 i를 곱하며 확인하는 방법이었던 것 같아 구현하여 각 수..